주린이
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
초프(초보 프로그래머)
2021. 1. 7. 22:37
반응형
PER
투자할 종목을 찾을 때 확인하라고 하는 수치 중 하나이다.
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8841&cid=43659&categoryId=43659
PER = 주가 / 주당순이익(EPS)
주당순이익(EPS) 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글에 있습니다.
주가는 주당 가격이다.
주당순이익, 주당가격 둘 다 1주에 해당하는 순이익과 가격이다. 여기서 주당을 빼보자.
가격/순이익
순이익에 비해서 가격이 몇배 인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. 여기에 다시 주당을 붙여보자.
주당 가격이 (주당) 순이익에 몇 배
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가격이 높은 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.
적정 주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한기도 합니다.
PER 가 낮으면 저 평가, 높으면 고 평가이다.
(낮다 높다의 기준은...?)
계산해보자
네이버 금융에서 카카오 주식을 보자.
오늘 카카오 주가는 402,500 원이다.
EPS 는 5,140 원이다.
PER = 주가 / 주당순이익(EPS) = 402,500 / 5,140 = 78.307 ≒ 78
위 펀더멘털에 나와 있는 76.95 와 다르다?!
제가 주가를 오늘 주가를 가지고 와서 달랐네요...
PER = 주가 / 주당순이익(EPS) = 395,500 / 5,140 = 76.945 ≒ 76.95
이제 펀더멘털에 나와 있는 2020/12 의 PER 가 나왔네요.
정리하면 다음과 같다
PER = 전일 (보통주 수정)주가 / (최근 분기) EPS
현재 PER 의 수치가 낮은지 높은 지는 투자자 본인이 판단해야 할 몫인 것 같다?!
N/A
PER 가 N/A 로 표시되면 계산되지 못했다는 것이다.
EPS 가 마이너스 즉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경우 PER 가 계산이 되지 않는다.
반응형